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

커맨드 라인 고급 사용자로 거듭나기! 이 코스에서 배우는 커맨드를 통해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경하여 모든 새로운 워크플로우와 전략을 사용하고, 컴퓨터를 다루는 데에 있어 여러분의 파워를 키울 수 있습니다!
4.62 (446 reviews)
Udemy
platform
한국어
language
Software Engineering
category
instructor
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
3 878
students
16 hours
content
Aug 2024
last update
$29.99
regular price

Why take this course?

리눅스 커맨드라인은 매우 강력하고 유연한 도구로, 다양한 시스템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 여기서 제공된 리눅스 커맨드라인 부트캠프의 목록은 초보자부터 중급 사용자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기본적인 명령어부터 시스템 관리와 자동화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명령어들을 포함합니다.

아래는 각 명령어의 간략한 설명입니다:

  1. date: 현재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.
  2. cal: 커맨드 라인에서 달력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.
  3. ncal: 'normal calendar'의 약자로, cal의 대안으로 달력을 표시합니다.
  4. echo: 지정된 문자열을 출력합니다.
  5. man: 매뉴 페이지를 표시하는 명령어로, 특정 명령어나 시스템 호환 사항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  6. help: 현재 실행 중인 쉘(shell)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의 도움말을 표시합니다.
  7. which: 특정 명령어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려줍니다.
  8. type: 특정 명령어가 어떤 종류의 커맨드인지 확인합니다.
  9. ls: 파일과 디렉토리의 목록을 표시합니다.
  10. cd: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.
  11. pwd: 'Print Working Directory'의 약자로,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표시합니다.
  12. touch: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업데이트하거나 새 파일을 생성합니다.
  13. mkdir: 새 디렉토리를 만들습니다.
  14. nano, vi, vim (omitted from the list): 텍스트 에디터로, 파일을 편집할 수 있게 합니다. nano는 초보자를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에디터입니다.
  15. rm: 파일을 삭제합니다.
  16. rmdir: 비어 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.
  17. mv: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합니다.
  18. cp: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복사를 수행합니다.
  19. cat: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거나 여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결합합니다.
  20. less: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서 페이지 단위로 순차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합니다.
  21. tac: 파일의 내용을 반대 방향으로 출력합니다 (마지막부터 시작하여 처음까지 읽습니다).
  22. rev: 문자열을 뒤집는 명령어입니다.
  23. head tail: 파일의 처음 부분(head) 또는 마지막 부분(tail)을 표시합니다.
  24. wc: 'word count'의 약자로, 문장의 수, 단어의 수, 바이트의 수를 세어줍니다.
  25. chmod: 파일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합니다.
  26. chown: 파일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합니다.
  27. find: 시스템 내에서 특정 파일, 디렉토리, 기타 항목을 찾는 명령어입니다.
  28. grep: 텍스트에서 특정 패턴이나 문자열을 검색합니다.
  29. tar: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'tarball'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파일을 풀어 사용합니다.
  30. kill: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입니다.
  31. sudo: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.
  32. crontab: 시스템에서 정기적으로 실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33. top, htop (omitted from the list): 시스템의 프로세스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. htop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버전입니다.
  34. df, du: 'disk free'와 'disk usage'의 약자로, 디스크 공간의 사용량과 남은 공간을 표시합니다.
  35. ping: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지정된 호스트에게 ICMP Echo 요청을 보내는 명령어입니다.
  36. ssh: 원격 시스템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합니다.
  37. ping: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IP 주소나 호스트에게 패킷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명령어로, 네트워크 연결의 상태를 확인합니다.
  38. ps, kill (already mentioned): 프로세스를 조회하고 종료시키는 명령어입니다.
  39. sudo: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.
  40. apt-get: Debian 기반 배포판에서 패키지를 설치, 업데이트,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41. systemctl: 시스템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(Systemd에 의존한 시스템에서 사용).
  42. iptables: IP 패킷의 처리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로, 네트워크 방화벽 규칙을 설정합니다.
  43. netstat: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명령어입니다.
  44. dig: 도메인 이름 체계(DNS)에 대한 정보를 조회합니다.
  45. ping: 네트워크에서 지정된 IP 주소나 호스트에게 패킷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명령어로, 네트워크 연결의 상태를 확인합니다.
  46. sar: 시스템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.
  47. vmstat: 시스템의 프로세스, 메모리, paging, block IO, 네트워크 및 CPU 통계를 표시합니다.
  48. free: 현재 사용되고 자유 있는 물리적 메모리의 상태를 표시합니다.
  49. du, df (already mentioned): 'disk usage'와 'disk free' 명령어로, 디스크 공간의 사용량과 남은 공간을 표시합니다.
  50. ngrep: 'grep'과 유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패턴을 찾는 도구입니다.
  51. wget (omitted from the list): 인터넷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합니다.
  52. rsync: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지정된 위치로 복사하는 데 사용되며, 변경된 부분만 전송하여 효율적인 백업과 동기화를 가능하게 합니다.
  53. htop: 'top'을 대체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도구로,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(Systemd에 의존한 시스템에서 사용).
  54. iptables: IP 패킷의 처리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로, 네트워크 방화벽 규칙을 설정합니다 (Linux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).
  55. ssh (already mentioned): 원격 시스템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합니다.
  56. nmap: 네트워크 상호 작용을 분석하고,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를 스캔하고, 서비스와 운영 체제의 버전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.
  57. mysqlcheck (omitted from the list): MySQL이나 MariaDB 데이터베이스를 최적화하고 테이블의 무결성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58. mtr: 'my traceroute'의 약자로, ping과 traceroute의 결과를 동시에 표시하여 네트워크 경로의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합니다.
  59. apt-cache: Debian 기반 배포판에서 패키지 정보를 조회하고, 패키지 설치 및 제거를 위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60. screen (omitted from the list): 여러 Terminal 세션을 한 개의 session 내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.
  61. tmux (omitted from the list): 'terminal multiplexer'로, 여러 터미널 패나를 하나의 세션 내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.
  62. systemctl: 시스템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고, 서비스를 시작하거나 중단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(Systemd에 의존한 시스템에서 사용).
  63. tar: 파일과 디렉토리를 아카이브로 패키징하거나, 아카이브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64. crontab: 시스템에서 정기적으로 실행될 작업을 설정하고, 이러한 '크론 작업'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.
  65. uptime: 시스템이 얼마나 오래 동안 실행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며,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66. find: 파일시스템 내에서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검색하고, 파일의 권한을 설정하거나, 파일과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67. awk: 텍스트 처리에 주로 사용되며, 데이터 분석, 문자열 매핑, 패턴 검색 등을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.
  68. sed: 'stream editor'로, 텍스트 파일 내의 텍스트를 찾아서 삭제, 변경, 또는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69. grep: 텍스트 내의 패턴을 검색하고, 일치하는 줄만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70. cut: 파일 또는 스트림의 필드를 자르거나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71. sort: 파일의 줄을 정렬하거나, 문자열을 정렬하는 데 사용되며, 결과를 반전 순으로 표시할 수도 있는 명령어입니다.
  72. diff: 두 파일 또는 텍스트의 차이점을 비교하고, 변경된 부분을 강조하여 보여주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73. cat: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거나, 여러 파일을 연결하여 하나의 파일로 합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74. chmod: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75. chown: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76. chgrp: 'chown'과 유사하지만, 단순히 그룹의 소유자만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.
  77. kill: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, 정지된 프로세스를 재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78. top (already mentioned): 'process'의 약자로,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  79. systemctl: 시스템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하거나,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(Systemd에 의존한 시스템에서 사용).
  80. ping: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, 지정된 호스트에게 ICMP Echo 요청을 보내는 명령어입니다.

Course Gallery

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– Screenshot 1
Screenshot 1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
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– Screenshot 2
Screenshot 2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
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– Screenshot 3
Screenshot 3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
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– Screenshot 4
Screenshot 4【한글자막】 Linux Command Line 부트캠프: 리눅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

Loading charts...

4490252
udemy ID
12/01/2022
course created date
30/03/2022
course indexed date
Bot
course submited by